일반

우주에 대한 새로운 통찰 철학자가 본

우주의 역사

무선 | 130×185 mm | 188 쪽 | ISBN 9791163143536

어른

펴낸날 2024-02-24 | | 글 윤구병 |

13,000원

11,700원 (10% ↓)

11,700원 (10% ↓)

❙ 상식을 뒤흔드는 철학 이야기, 

현대 과학이 놓치고 있는 우주의 역사를 새롭게 밝히다

 

철학자 윤구병이 삶의 본질에 다가서는 참된 앎을 갈망하며 우주의 근원에 대한 통찰을 담은 철학 이야기. 《철학을 다시 쓴다》《꿈꾸는 형이상학》을 이어 우리말로 쓴《철학자가 본 우주의 역사》가 세상에 나왔다. ‘형이상학(形而上學)’ 또는 철학자의 눈으로 세상의 근원을 새롭게 밝히고자 하는 글쓴이의 눈길이 3부작 마지막 권에 담겨 있다.

 

‘빅뱅(큰펑, Bigbang)은 없었다!’ 현대 과학이 이미 가득 뿌려 놓은 당연한 말에 사뭇 논란을 불러 일으킬 말을 던지고는, 이제까지 현대 과학의 명제들이 무엇을 놓치고 딴짓을 하고 있는지를 지적한다. 

 

예로부터 달리 할 일이 없는 건달들이 심심풀이로 우주의 역사를 써 왔다. 어떤 이들은 ‘물’을 중심으로, 어떤 이들은 ‘불’이나 ‘바람’을 중심으로, 또 어떤 이들은 ‘흙’을 중심으로, 아니면 있는 것, 가득 찬 것을 앞세우는 이도 있었고 그에 맞서 없는 것, 텅 빈 것을 내세우는 이들도 있었다. 저마다 한가락 했다. 이를테면 엠페도클레스는 ‘물, 불, 바람, 흙’을 저마다 따로 있는 것으로 보고 ‘사랑’이라는 힘은 이들을 끌어모아 이것저것을 빚어내고, 여기에 맞서 ‘미움’이라는 힘은 이들을 찢어발겨 제자리로 돌아가게 한다고 우겼다.(9쪽) 

 

우주의 기원에 대해 고대 철학자, 과학자, 수학자들이 답을 찾기 위해 분주하게 이것저것 뒤져서 찾아내어 내세운 논리를 ‘건달들이 한 심심풀이’로 가볍게 누른다. 20세기 물리학에서 ‘빅뱅’ 이론이 휩쓸고 지금도 이어지고 있는 때, 평생을 물과 바람과 하늘과 땅, 살미와 주그미를 보듬으며 살아 온 철학자 윤구병은 고개를 저으며 독하게 말한다. ‘그거 다 뻥이야.’ 

 

현대 과학이 밝혀낸 법칙은 그 자체로 지식의 세계에서 절대 인정을 받는다. 이를 뒤집어서 그렇지 않다고 말하는 글쓴이는 현대 과학과는 전혀 다른 눈길로 우주의 기원을 파고든다. 곧 사람과 자연, 삶의 결, 삶과 죽음,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 시간과 공간, 생명과 온갖 것들의 역사를 더듬는 일로 말이다.  

 

철학은 올바른 가치관으로 더 나은 세상을 꿈꾸면서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길을 비추는 등대 같고, 형이상학은 철학을 받치는 주춧돌이자 뼈대라던 말씀 바탕에서 나온 《철학자가 본 우주의 역사》는 《있음과 없음》 《철학을 다시 쓴다》 《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 《꿈꾸는 형이상학》을 잇는 아롬사랑이다. 아울러 “나는 모든 것을 원자나 분자 같은 물질 단위로 환원시키려는 근현대 과학의 관점을 받아들일 수 없다. 그래서 근대과학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온갖 가설들을 아낌없이 버리고, 처음부터 ‘땅과 불과 물과 바람(지수화풍)’의 역사를 다시 쓰려고 한다. 살아 움직이는 크나크신 님에게 옛 영광을 돌려드리고 싶다.”(《꿈꾸는 형이상학》 본문에서)라는 다짐과 아롬사랑은 그릇된 현실과 그 그릇된 현실에 바탕을 둔 그릇된 앎을 비판하고, 바른 삶과 그 바른 삶을 뒷받침하는 바른 앎에 이르고자 애쓰는 일 곧 참된 앎에 대한 사랑이라고 흔들며, 바른 철학의 역사는 비판의 역사(세상은 물음표로 가득 찬 것 같아요)라던, 뜻이 오롯한 열매이다. _변택주(꼬마평화도서관사람들 바라지이)

 

 

❙ 우주의 역사와 먼지의 역사가 같다고? 그렇다!

철학자, 형이상학의 눈으로 본 우주는 어쩌다 이런저런 일이 쌓이고 쌓여서 여기까지 온 것으로 보자고 말한다. 모든 결들이 그저 아무렇게나 흐르는 결이 아니라 제힘으로 움직이는 삶결, 살아서 움직이는 힘으로 한결같이 저절로 이어온 역사라는 말이다. 필연은 절대(과학)로 이어지고, 우연은 어쩌다(형이상학)으로 나누는데, 이 둘은 대립이 아니라 반드시는 없고 어쩌다 이런저런 일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이 우주 안에서 일어나는 일에 ‘반드시’는 없다. 어쩌다 이런저런 일이 벌어진다. 일을 벌이는 놈이 따로 없다는 말이다. 우주의 역사를 쓴다는 것은 양자 요동의 역사를 쓰는 것이나, 먼지의 역사를 쓰는 것이나, 천체의 역사를 쓰는 것이나, 허공의 역사를 쓰는 것이나 거기서 거기다. 이 우주 안의 역사는 어쩌다 그렇게 쓰이게 되는 것뿐이다.(11쪽)

 

우주의 역사는 ‘없는 것’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태초가 없다. 무한하다. 끝없이 흐르고 또 흐르면서 그 안에 모든 것을 감싸 안는다. 빈 듯이 차 있고 찬 듯이 비어 있는 이 역사는 수사학적으로 영원회귀의 역사다. 꼴을 바꾸면서, 그와 함께 소리(발소리로 의인화해도 좋다)를 바꾸면서 끊임없이 되풀이하고 또 되풀이하는 삶 바로 그것의 역사다. 그런 뜻에서 우주의 역사는 영원한 윤회의 역사다. 

 

우주의 역사는 빈구석투성이이기 때문에 울타리 없는 벌판 같아서 어디서든 발길 닿는 대로 들어갈 수 있다. 들어가는 길이 따로 없으면 나오는 길도 따로 없다. ‘있는 것이 없다’는 말은 하나도 없다는 말이고 이 말은 ‘아예 없다 絶對無’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거꾸로 말하면 이 말은 ‘절대무만 있다 一切皆空’는 말이기도 하다. 모두 비어 있다. 있다고 여겨지는 것은 그리매뿐이다. 다른 한편으로 ‘없는 것이 없다’는 말은 ‘다 있다’는 말이고 ‘다’라는 말은 그 안에 ‘여럿’을 감추고 있는 말이므로 만일에 ‘다’가 있다면, 그리고 그 ‘다’의 가장 적은 수가 ‘둘 ’이라면, 그리고 ‘있는 것’이 하나라면, 없는 것도 있다고 보아야 둘이 생겨날 수 있으므로 ‘없는 것이 있다’는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 기억의 역사, 시간과 공간, 믿음과 사랑, 우주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전망

우주의 역사는 기억의 역사다. 시간과 공간은 우연의 산물이다. 시간과 공간은 정보 교환과 소통의 한 형식이다. 온 누리가 삶의 터이자 흐름이고, 크건 작건 모든 흐름은 이어져 있다.믿음이 사랑으로 이어지는 삶의 고리가 든든할 때, 있을 것이 있을 데에 있고, 없을 것이 없을 때 우리는 우주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갖게 될 것이다.

 

우리에게 살미의 수수께끼는 풀리지 않았고 앞으로도 온 누리를 샅샅이 뒤지더라도 풀리지 않을 것이다. 모르는 게 많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모르는 것을 덮어 두고도 살 수 있다면 그러는 게 더 좋다. 왜냐하면 삶에 도움이 안 되는 앎은 군더더기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살려고 배우고 그래서 죽는 날까지 배운다. 앎이 삶에 보탬이 되기 때문에 ‘아는 것이 힘이다’라고 말하지, 삶에 아무 도움도 되지 않는 아롬은, 그리고 그것을 뒤좇는 짓은 그야말로 삶을 낭비하는 대죄를 짓는 짓이다. 우리는 갖은 삶의 가닥을 추스르면서 어떻게 살아야 좋을지를 알려고 애쓰는 사람들을 알고 있다. 이런 사람들은 비록 몸 놀리고 땀 흘려 일하지 않더라도 먹여 살릴 만하다.(119~120쪽)

 

❙ 글쓴이 윤구병

1943년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197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를 졸업하고 〈뿌리깊은나무〉초대 편집장을 지냈다. 1981년 충북대 철학과 교수가 되었고 1989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를 만들어 공동대표를 맡았다. 1983년 이오덕 선생의 권유로 대학교수로는 처음으로 ‘한국글쓰기연구회(지금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회원이 되었다. 1988년 어린이에게 줄 좋은 책을 출판하려고 ‘보리기획(지금 보리출판사)’을 만들었다. 1995년 변산(전북 부안군)에 자리를 잡아 변산공동체학교를 꾸리고, 1996년 대학교수를 그만두고서 농사꾼으로 살기 시작했다. 쓴 책으로 《잡초는 없다》《실험 학교 이야기》《철학을 다시 쓴다》《내 생애 첫 우리말》《꽃들은 검은 꿈을 꾼다》《특별 기고》《꿈꾸는 형이상학》 들이 있다. 〈달팽이 과학동화〉〈개똥이 그림책〉을 비롯해 ‘세밀화 도감’을 기획하고 펴내 어린이책의 새 지평을 열었으며, 남녘과 북녘의 학생들이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다.

미리보기 준비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