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는 우리 둘레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나비 120종을 뽑아 세밀화로 그려 담았습니다. 먼 옛날부터 나비는 사람들에게 무척 친근한 곤충입니다. 철마다 나오는 나비가 다르고 산과 들, 공원, 집 가까이에서 보는 나비가 또 저마다 다릅니다. 나비가 찾아오는 꽃도 다르고, 애벌레가 갉아 먹는 풀도 다릅니다. 나비를 관찰하면 우리 둘레에 있는 자연을 두루두루 알 수 있습니다. 호랑나비와 산호랑나비처럼 헷갈리는 나비가 어떻게 다른지도 밝혀 놓았습니다. 자연과 나비에 대해 이해하고 제 이름으로 부르는 데 좋은 길잡이가 되어 줄 것입니다.
어린이,청소년,어른
펴낸날 2017-11-11 | 1판 | 글 백문기 | 세밀화 옥영관 |
35,000원
31,500원 (10% ↓)
31,500원 (10% ↓)
나풀나풀 나는 나비, 팔랑팔랑 나는 나비
우리나라에 사는 나비 세밀화 도감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
우리 땅에 사는 나비 120종
❙ 이리저리 날아도 이 꽃 저 꽃 찾아다니는 우리 나비 세밀화 도감
사뿐사뿐 부전나비
하늘하늘 흰나비
가뿐가뿐 네발나비
나풀나풀 호랑나비
배추꽃에 찾아오는 나비는 어떤 나비일까요?
참나무 숲에서 보이는 나비는 어떤 나비일까요?
겨울을 나는 나비는 어떤 나비일까요?
공원에서 날아다니는 나비는 어떤 나비일까요?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우리 땅에 어떤 나비가 살고 있는지 알아보세요. 우리 땅에 살고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비 120종을 세밀화로 그렸습니다.
❙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은 1부와 2부로 본문을 구성했어요.
나비는 오래전부터 우리와 아주 친근한 곤충입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여기저기 날아다니고, 산에서부터 도시 공원까지 이곳저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나비는 온 세계에 18,000종에서 20,000종쯤 사는데 우리나라에는 280종쯤 삽니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에는 팔랑나비과, 호랑나비과, 흰나비과, 부전나비과, 네발나비과로 분류하여 우리가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비 120종을 실었습니다.
1부에는 나비에 대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정리해 놓았습니다. 나비 생김새와 한살이, 나오는 때, 나비 사는 곳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써 놓았습니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 모습이 무리별로 어떻게 다른지, 멸종위기나비와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종에는 어떤 나비들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했습니다. 나비는 애벌레가 좋아하는 식물에 알을 낳기 때문에 나비가 사는 곳을 보면 우리나라 식물 분포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나비 생김새 나비의 한살이
2부에는 나비 한 종 한 종에 대해 쉬운 우리말로 설명해 놓았습니다. 나비 이름의 유래, 북녘에서 부르는 이름, 자주 보이는 때와 곳, 잘 모이는 곳, 애벌레가 좋아하는 식물, 겨울나기 들도 두루 알 수 있습니다.
❙ 나비의 암수, 옆모습, 철 따라 다른 모습까지 두루 볼 수 있는 도감
나방은 날개를 펼치고 앉지만, 나비는 날개를 접고 앉습니다. 그래서 나비가 앉아 있을 때는 날개 아랫면이 보입니다. 날개 윗면은 날아다닐 때 언뜻 보이거나 앉아서 날갯짓할 때 잠깐씩 보이기 때문에 날개 윗면 무늬를 자세히 관찰하기가 어렵습니다. 또 나비는 수컷과 암컷 무늬가 다른 종들이 꽤 됩니다. 또 사는 곳이나 계절에 따라 무늬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나비 도감》은 수컷과 암컷이 날개를 펼친 모습으로 세밀화를 그려 넣어 날개 윗면 무늬를 바로 비교해 볼 있게 하였고, 수컷 옆모습도 같이 보여 줌으로써 날개 아랫면도 살펴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 철마다 다른 모습도 그려 넣었습니다.
수컷과 암컷 생김새가 닮은 나비의 예: 귤빛부전나비
수컷 수컷 옆모습 암컷
수컷과 암컷 생김새가 다른 나비의 예: 부전나비
수컷 암컷 수컷 옆모습
철 따라 생김새가 다른 나비의 예: 산제비나비
수컷 봄형 수컷 봄형 변이 수컷 여름형
❙ 닮은꼴 나비들의 다른 점을 쉽게 살펴볼 수 있는 도감
나비는 생김새가 서로 닮은 나비가 많아서 구별점을 잘 알아야 합니다. 이 도감에는 서로 닮은 나비끼리 구별할 수 있는 생김새 특징을 써 놓았습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점을 삽화로 그려 더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대만흰나비 배추흰나비와 매우 닮았지만, 대만흰나비는 뒷날개 윗면 바깥쪽 가장자리에 까만 점무늬가 있다.
❙저자소개
그림 옥영관
1972년 서울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릴 때 살던 동네 둘레에는 산과 들판이 많았답니다. 그 속에서 마음껏 뛰어놀면서 늘 여러 가지 생물에 호기심을 가지고 자랐습니다. 고등학교 다닐 무렵 우연히 화실을 알게 되어 화가를 꿈꾸게 되었습니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과 대학원에서 회화를 공부하고, 작품 활동을 하면서 여러 번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또 8년 동안 방송국 애니메이션 동화를 그리기도 했습니다. 몇 해 전부터 우연인지 필연인지 생태그림을 그려 왔던 친구와 편집자 권유로 딱정벌레, 나비, 잠자리 도감에 들어갈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틈틈이 산과 들에 나가 여러 곤충들을 관찰하여 그림을 그리고 있습니다.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잠자리 도감》, 《잠자리 나들이도감》, 《세밀화로 그린 보리 어린이 곡식 채소 도감》에 그림을 그렸습니다.
글 백문기
초등학교 때부터 여름방학 숙제로 ‘앞산의 곤충’, ‘뒷산의 곤충’ 관찰 기록지와 표본을 제출해 여러 번 대상을 받았을 정도로 곤충을 좋아했습니다. 중, 고등학교 때는 생물반에서 활동했고, 대학에 들어가서는 곧바로 곤충 연구실에 연구생으로 들어가 곤충을 배웠습니다. 국립보건원과 국립공원관리공단을 거쳐 가천길대학 겸임교수로 일했습니다. 지금은 한반도곤충보전연구소 소장과 한국숲교육협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요즘에도 늘 산과 들을 돌아다니면서 여러 가지 곤충을 관찰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곤충-명나방류 II》, 《화살표 곤충도감》, 《한반도 나비 도감》, 《우리 동네 곤충 찾기》, 《한국 밤 곤충 도감》, 《한반도의 나비》, 《한국 곤충 총 목록》, 《한국산 명나방상과 도해도감》, 《명나방상과의 기주식물》 같은 책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