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설화와 함께 보는 우리 노래의 원천, 고대 가요
고조선 때 ‘공무도하가’에서 삼국시대 향가, 고려시대 고려가요, 경기체가와 이제현이 채록한 고려시대 민요들, 그리고 문헌에 전하는 참요들을 실었다.
고대 가요는 우리 겨레가 수천년 동안 불러 온 우리 노래의 원형이다.
고 조선 때 남편을 잃은 여인이 “님아 물 건너지 마오” 외친 소리가 노래가 되어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고려 가요 ‘가시리’로, 한말 ‘아리랑’으로, 그리고 김소월의 ‘진달래꽃’으로 이어져 왔다. 노랫말은 달라졌지만 노래에 담긴 정서는 변함이 없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며 제 삶에 견주어 다시 불렀을 수많은 사람들의 목소리가 힘이 되어 시대를 넘어 지금까지 불리고 있는 것이다.
향가는, 북에서 홍기문의 향가 해석을 바탕으로 다시 현대문으로 고쳐 쓴 것이며, 고려가요는 김태준이 『고려가요집성』(1936)에서 해석한 것을 북에서 다시 현대문으로 고쳐 쓴 것이다.
양반 지주들을 골려 먹는 노래
전 통 농경사회에서 아무리 일을 해도 끼닛거리가 없는 백성들의 한탄과 분노를 담은 노래, 부모들과 삶의 애환을 함께하면서 세상을 바라본 아이들의 노래를 만난다. 특히 아이들의 노래에는 아이들 눈에 비친 사회의 불합리한 모습이 아이들의 말로 표현되어 있다.
‘노 닥노닥 기운 바지’가 너무 해져서 ‘새털 같은 바지’를 입고, 장에 가도 ‘지주집 장짐만 한 짐 지고’ 오는 아버지며, ‘울 아기는 사흘 굶고 울어도’ ‘부잣집 아기께 젖을 먹이고’ 끼닛거리가 없어 ‘비칠비칠 나물 캐러 가는’ 엄마. 아이들 눈에, 빚 독촉을 하는 ‘배뚱뚱이’ 지주는 ‘독사’ 같고 ‘살모사’ 같다. ‘개 팔아 두냥반’이고 ‘개똥밭에 미나으리’ 같은 ‘놀고먹는 지주 첨지’는 ‘도둑놈 중에도 상도둑놈’이다. 쿡 찌르면서도 은근슬쩍 비켜서며 양반 지주를 골려 먹는 아이들 노래를 만나볼 수 있다.
소리 한 자락으로 신명나는 마을 공동체―“일하는 데는 소리가 날개”
일 노래 가운데 가장 많은 농사 노래는 계절에 따라 농사짓는 순서로, 논 가는 노래, 모 찌는 노래, 모 심는 소리, 논 매는 노래, 새 쫓는 소리, 벼 베는 소리를 실었다. 백제 때부터 김매기 때 불렀다는 ‘산유화’와 다른 김매기 노래를 견주어 보면 세대가 바뀌면서 노래도 끊임없이 재창조되었음을 볼 수 있다. 힘든 일을 견디게 해 주는 신명이며, 마을 공동체를 하나로 묶어주는 ‘힘’이었던 농부가를 비롯 농사 노래들을 통해 우리 겨레의 신명나던 삶의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남쪽에서는 아이를 어를 때나 부르는 ‘풀무 노래’의 원래 모습도 볼 수 있다.
노래로 읽는, 일하는 민중들의 삶
일 노래는, 고된 일을 노래로 이겨 내야 했기에 다른 노래들보다 장단이 빠르고 흥겹다. 그러나 흥겨움 속에 담긴 노랫말에는 고된 세상살이가 담겨 있기도 하다.
뱃 사람들이 부른 ‘배따라기’에는 파도에 휩쓸려 배가 뒤집혀지고 이리저리 떠다니다가 동무들 여럿이 죽고 겨우 살아남아 고향으로 돌아오는 뱃사람들의 삶이 담겨 있다. ‘뱃노래’ ‘나무꾼 노래’ ‘해녀 노래’ 들에서 그네들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만나볼 수 있다.
열심히 일한 만큼 제대로 쉬면서 노는 자리도 중요했다. 정월 대보름, 팔월 한가위 같은 명절이나 절기 때마다 마을 마당에 함께 모여 노는 것은 구성원들의 결속을 다지는 것이기도 했다.
‘달거리’, ‘윷노래’ ‘쾌지나 칭칭 나네’, ‘강강수월래’ ‘활노래’ 같은 노래들을 통해 세상살이를 살맛나게 하던 놀이 마당을 만나 보자
* 겨레고전문학선집을 펴내며
어화 우리 농부들아
농부가 / 산유화 / 어화 농사 장하도다 / 천하지대본이 농사라니 / 얼럴럴 상사디야 / 저문 날에
이 농사를 어서 지어 / 이 농사를 지어서는 / 어화 우리 농부들이 / 어화데화 농사꾼아
어허라 농군님네 / 앞 남산에 비 져온다 / 올해도 가물 들어 / 눈비 맞고 썩은 집에
옥 같은 쌀로 밥을 지련만 / 이 논에 모를 심어 / 앞들에 못자리 바삐 서둘러 / 상사데야
논밭 타령 / 풍년새나 울어 다오 / 흉년 질까 / 새벽달 지자마자 / 푸른 별 보기만 해도
여윈 몸 부여잡고 / 감내기 / 꼴 베기 노래 / 낫 타령 / 산아지 타령 / 풍년가
옹헤야 어절씨구 옹헤야
가래질 소리 / 긴 쇠스랑 소리 / 자진 쇠스랑 소리 / 모찌기 소리 / 모 찌는 노래 / 절우자 절우자
모내기 소리 / 모내기 노래 / 모심기 노래 / 사대로 / 아요 타령 / 덩지 노래 / 정지 노라
먼돌 타령 / 우리 점심 왜 안 오노 / 물 푸는 소리 / 드레 소리 / 김매는 노래 / 호미 타령
호미 노래 / 땅가보 노래 / 뎅이 소리 / 둥둥 타령 / 이 논배미 어서 매고 / 푸지기
기나리 / 메나리 / 엮음 메나리 / 점심 메나리 / 저녁 메나리 / 해 다 졌다 / 새 쫓는 소리
새야 새야 녹두새야 / 벼 베는 노래 / 에헤루 볏단 / 마당질 노래 / 도리깨질 노래
도리깨질 소리 / 옹헤야 / 보리타작 노래
불어라 딱딱 풀무야
나무꾼 노래 / 초부가 / 풋나무 베는 소리 / 나무 베는 소리 / 톱질 소리 / 우야호 남기 간다
배따라기 / 자진배따라기 / 연평 바다로 돈 실러 가자 / 배 떠나는 소리 / 배가 떴다
그물 당기는 소리 / 날바 소리 / 뱃노래 / 어부 노래 / 장산곶 타령 / 게 잡는 노래
이어도사나 / 양태 노래 / 해녀 노래 / 말몰이 노래 / 풀무 노래 / 풍구 타령
달고 소리 / 늦은 달고 소리 / 무덤 달고 소리 / 망치 소리 / 말뚝박기 노래 / 기와를 이세
도배 노래 / 가마꾼 노래 / 옹기장수 옹기짐 지고 / 등짐장수 노래 / 월천꾼 노래
팔월이라 한가위는 밝고 밝아
달거리 / 정월 보름 한보름 / 오월이라 단옷날은 / 칠춸칠석 오늘 밤은 / 쾌지나 칭칭 나네
칭이나 칭칭 나네 / 강강수월래 / 재로 밟자 / 활 쏘는 소리 / 활 노래 / 활량들 걸음이라
그네 노래 / 추천 노래 / 널뛰기 노래 / 윷 노래 / 장기 노래 / 연아 연아 올라라
연이 떴다 연이 떴다 / 화수가 / 화전가 / 음식 타령 / 떡 타령 / 송편 노래 / 콩떡 노래
엿 타령 / 술 타령 / 메밀국수 타령 / 범벅 타령 / 약장 타령 / 등 풀이 / 지명 풀이
댁 풀이 / 국문 풀이 / 한글 노래 / 과거 노래 / 일천문자 일어다가 / 통골집 통도령이
굿우름 / 귀신 쫓는 소리 / 성주풀이 / 상엿소리 / 통곡 소리 / 무덤 소리
아버님 전 뼈를 받고 어머님 전 살을 빌었더니
산에 산새 들에 들새 강에 강새
개야 개야 복술개야 / 닭아 닭아 꼬꼬닭아 / 닭알님 닭 되었네 / 소 타령 / 우리 소지
우리 암소 / 꿀꿀 돼지 / 돼지는 까마귀 보고 / 야웅거리는 놈아 / 고양이 두 마리가
서생원이 감투 쓰고 / 워렁저렁 말을 타고 / 사슴 타령 / 산중 대왕 호랑이
나비 나비 범나비야 / 나비는 청산 가고 / 청나비를 볼작시니 / 매미 타령
한 다리 없는 땅개비 / 산에 산새 들에 들새 강에 강새 / 새야 새야 임금새야
새야 새야 우는 새야 / 파랑새 / 종달새 / 옹금종금 종달새 / 종글종글 종글새
종금종금 종금새 / 울고 가는 저 기럭아 / 홀로 앉은 저 뻐꾸기 / 슬피 우는 송낙새야
동곳남에 삐죽새가 앉아 / 뜸북뜸북 뜸부기 / 산지니 수지니 / 금비둘기 알을 낳아
꿩꿩 무슨 꿩 / 장끼 낭군 호걸일레 / 까투리 타령 / 새 타령
노래 한 장 지어주소 꽃노래 지어주소
진달래 / 참꽃 노래 / 기장꽃은 피었건만 / 뒷동산 살구꽃은 / 백일홍 피었으니
어려서도 할미꽃 젊어서도 할미꽃 / 호박꽃아 호박꽃아 / 장다리꽃이 피었으니
장다리꽃 꺾어 들고 / 은접시는 은꽃 피고 / 동백꽃 / 찔레꽃 떼어다가
들로 들로 가다가 / 가시꽃 피거든 / 가시꽃은 왜 피었노 / 명사십리 해당화야
우리 집 배꽃 보소 / 난초 심지 마소 / 연꽃 노래 / 매화 노래 / 목화를 따다가
이 목화를 이리 따서 / 봉선화 / 봉선화 노래 / 봉선화가 / 꽃노래 / 꽃아 꽃아 고운 꽃아
애기 같은 꽃송이는 / 천안 삼거리 수양버들은 / 고향 앞 버드남에 / 버들가지 꺾어 들고
언덕 끝에 저 밤나무 / 유자 석류 근월이 좋아 / 이 대 청청 잘라다가
참배 돌배 떨어졌다 / 애동고추 따다 가서 / 박 노래 / 나무 타령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일월나무 / 달이 돋네 / 달아 유정도 하다만 / 달 노모야 달 노모야 / 초승님에 반달님아
이 몸은 달이오니 / 달나라에 사는 새가 / 달이 밝아 어이 가나 / 달아 달아 밝은 달아
초승달 노래 / 맑은 물에 저 별들아 / 별은 가도 / 별이 동동 떠노에 / 별 하나 따서
울고 있는 작은 별은 / 가랑비 올 줄 알면 / 비 오는 날 님도 오면 / 밤에 밤에 오는 비는
ㅂ주룩주룩 오는 비는 / 이슬 젖어 우거진 길을 / 바람아 솔솔 불어라
바람이 불어 / 저게 가는 저 구름은
금수강산 일천 리 눈 아래 경개로다
물은 흘러 강이 되고 / 산이로세 / 구포벌에 가을해가 늦었구나 / 구포벌에 해 진다
죽령고개 높다 마소 / 미자골은 / 바위 타령 / 산타령 / 오봉산 타령 / 정방산 타령
금강산 어드메냐 / 만고강산 유람할 때 / 금세상 좋단 말을 듣고 / 한라산 노래
평양 팔경가 / 평양 구경 노래 / 죽장망혜 단표자로 / 고고천변일륜홍
유산가 / 평생에 명산 승경 보랴 하니 / 산천가
* 우리 나라 가요에 대하여 - 문예출판사 편집부